느낀 점
힘들고 재미있었다.
나의 첫 프로젝트이다.
코드스테이츠에서 얻고자 했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다.
1
우선 잘 동작하는(?) 완성된 서비스를 만들고 사용해볼 수 있는 점이 만족스럽다.
메인 프로젝트 이전 프리 프로젝트에서 클라이언트와의 통신에 문제가 있어 결국 서비스를 완성하지 못했었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일정상 메인 프로젝트로 넘어가야했는데, 그래서 메인 프로젝트에서는 꼭 완성된 서비스를 만들고 싶었다. 이를 해냈다는 게 참 좋다.
2
코스를 수강하며 개발공부가 많이 어려웠던게 사실이다. 프리 프로젝트를 돌입하기에 앞서서는 "내가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컸다. 하지만 프리 프로젝트, 메인 프로젝트를 거치며 결과물을 내어놓고 백엔드 개발이란 어떤 것인지 경험해보며 나도 개발을 할 수 있겠다는 어느정도의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 점도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3
좋은 팀원들과 함께 했다는 것도 정말 감사했다. 특히 인간적인 부분이 참 좋았다. 첫 만남부터 모든 팀원분들 느낌이 좋았다. 항상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와 말씀을 끝까지 유지해주셨고, 개인적으로 감정이 상하거나 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이외에 일적으로도,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늦은 시간까지 함께 하는 등 적극적으로 임한 덕분에 많이 배울 수 있었다. 모두가 비전공자이고 첫 프로젝트여서 기술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닐 수 있지만 협업을 통해 많은 내용을 배우고 이해할 수 있었다.
4
팀장을 맡은 경험도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팀원 한분께서 어려움을 호소한 적이 있었다. 외부 API 호출 기능을 맡으셨는데, 해당 기능을 구현해본 경험이 없다보니 일정이 타이트하게 잡혔었다. 구현 일정 다음날 말씀을 나누는데, 밤새 공부하고 구현해보려 해도 어려웠다고 하시며 개발 전반에 대한 어려움과 부담감을 많이 느끼는 모습이셨다. 사실 팀장으로써 일정이 밀리는 것도 신경을 써야 했지만, 차분히 현재 상황에서 우리팀의 최선의 방안이 무엇일 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우선 심리적으로 흔들리고 있으셨기 때문에 아주 조심스럽게 부담감을 조금 덜으셔도 된다는 말씀과 함께 헤쳐나가자는 말씀을 드렸다. 그리고 일정을 더 길게 잡고 천천히 학습과 함께 구현을 시도하는 것을 먼저 권유드렸다. 남은 작업들은 내가 맡아서 구현하겠다고 했다. 팀원분께서 남은 작업에 대한 부담을 느낀다면 오히려 더 생산성을 낮출 것으로 판단했고, 실제로 남은 작업들은 내가 일정에 맞춰 구현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코드스테이츠 측과 상담을 권유드렸다. 코드스테이츠는 비슷한 사례들을 많이 겪었을 것이고 처음 프로젝트를 하는 우리 팀에서 단독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팀원분께서 다행히 말씀을 잘 받아들여주셨고 코드스테이츠와의 상담도 진행하셨다.
마지막으로 멘토링 시간에 함께 멘토님께 조언을 들어보았다. 멘토님께서 비슷한 경험을 공유해주셨는데, 당시에 절대 팀원을 책하거나 한 적 없이 오히려 지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고 함께 해결해나갔다는 이야기였다. 말씀을 듣고 느낀 바가 많았다.그래서 나도 팀원분과 코드리뷰를 하며 지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고, 해당 기능 구현의 기본적인 틀을 함께 구현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많은 고민과 대책을 세우며 노력했고 결국 팀원분은 프로젝트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담당한 기능의 구현을 해내셨다. 이는 개인과 팀 모두에 있어 최선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5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동기들의 결과물들을 확인하며 부족한 점들도 많이 보였다. 기술적으로 자랑할만하거나 뛰어난 부분이 없었다. 이 점이 아쉽기도 하다. 하지만 기획/설계 - 구현 - 배포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경험해보고, 협업을 경험한 것, 동작하는 서비스를 만들어본 경험은 나에게 큰 성과인 것은 확실하다.
'프로젝트 > 나만의 작은 설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나만의 작은 설렘] [기술 회고] 기획/설계 (0) | 2022.10.29 |
|---|---|
| [나만의 작은 설렘] 독서 관리 서비스 '나만의 작은 설렘' 소개합니다!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