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렘 프로젝트에서 회원가입 시 인증번호를 통한 이메일 인증을 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redis를 처음 적용해보았다. 이를 위해 redis 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유튜브 영상도 보고, Spring Data Redis 공식문서를 보며 예제를 통해 구현에 도움을 가지기도 했다. 해당 기능은 다른 분들도 많이 구현했던 기능이어서 참고할만한 자료들도 많았다. Google SMTP, Spring의 JavaMailSender, Redis 등 많은 것을 알아보고 사용해보았다. 문제점들도 당연히 있었는데, 먼저 사용 시나리오가 조금 부적절했다. 현재 상태로는 인증번호 검증이 회원가입 요청과 함께 동시에 이뤄진다. 다른 서비스들의 일반적인 모습은 인증번호 확인이 먼저 이뤄진 후 다음 단계로 회원가입이 이뤄진다..
팀 회의를 거쳐 추가 기능 구현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하였다. 먼저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큰 주제로 나누어서 우선순위를 정하자고 제안드렸고 그렇게 하기로 했다. 그 이유는 불확실한 상황 때문이었다. 다양한 요구사항 중에서 경험해보지 못해서 일정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들도 있었고 요구사항들 간에 연관관계가 있어 선행되어야 할 것들을 판단하기 어려웠는데, 최대한 구현 순서를 최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큰 주제로 요구사항을 나누어 우선순위를 정한 것이다. 이렇게 하자 막혀있던 회의가 조금씩 진행되기 시작했다. 그렇게 정한 기능 구현순서의 첫번째는 사용자 인증 기능이다. 이메일을 통한 본인인증을 구현하기로 하였다. 인증번호를 이용하는 방법, 인증링크를 이용하는 방법과 클라이언트 or 서버에서 인증을 처리하는 방식 등..
오늘은 코드스테이츠 교육 과정을 복습하며 더 상세한 내용들을 알아가는 시간을 많이 할애했다. 휘발됬던 내용들을 다시 볼 수 있었고 JDBC, JPA 기술의 동작하는 원리를 살펴보았다. 기존 '나만의 설렘' 프로젝트를 개선 및 발전시키는 version 2.0 도 함께 진행중이고 내일부터 추가기능 구현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하루하루의 일기를 남기면서 기억을 남기고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도록 해야겠다.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0108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0;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s); int i = 1; int firstCount = 1; int nextCount = 0; while(sb.length()>0){ if(i>=sb.length()){ answer++; b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