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쳐 패턴이다. 어플리케이션을 Model, View, Controller 라는 세 가지 로직의 컴포턴트로 분리하는 것. Model 데이터, DTO 개념과 약간 비슷한 듯. View, Controller 사이에서 주고받는다 예) Model 객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데이터로 채우고 이를 수정할 수도 있고 렌더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View 말그대로 보이는 화면, 결과물 사용자에게 리소스를 보여주는 역할도 하면서, 요청을 할 수 있는 UI 를 제공하는 역할도 함. Controller 요청을 받는 인터페이스 역할.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며 Model 과 View 를 조작한다.
오늘은 취업을 위해 어느정도까지 준비해야 하는 지 찾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또 동기들이 면접에서 어떤 질문들을 받았는 지, 어떤 생각을 하는 지 블로그들을 둘러보았다. 역시 아직 조금은 부족하지 않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준비할 것을 정리해보면, 1. CS 적인 개념들을 매일 하나씩 알아갈 것. 2. 프로젝트에서 사용한 기술들에 대한 깊이있는 공부와 준비. 3. (1,2를 포함해) 기술면접에 대한 준비 4. 알고리즘 공부와 코딩문제 풀기 그리고 프로젝트 추가기능 구현을 할 예정이다. 힘든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하루 기도하며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한다.
갑자기 손가락 중간마디가 조금씩 뻣뻣해지더니 약간의 붓기와 통증도 오기 시작했다. 찾아보니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등등 무서운 이야기들이 나왔다. 특히 류마티스와 증상이 비슷해서 굉장히 걱정이 되었다. 이틀전 굿모닝 병원 정형외과 진료도 받았고 우선 일주일간 약을 먹어보자고 하셔서 그러고 있는데, 부디 괜찮길 바라고 있다. 오늘 기상해보니 다행히 더 나빠지는 것 같진 않다. 이외에도 힘든일도 있었고,, 해서 운동을 일주일에 3회정도만 한 것 같다. 조금더 힘내자
JPA 에서 가장 중요한 것 JPA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객체와 관계형 테이블간의 매핑" 이다. JPA는 자바의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기술에 대한 표준 명세이다. ORM 의 의미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매핑"이며 JPA 의 목적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패러다임 불일치를 해결" 하는 것이다. Hibernate Document 를 살펴봐도 객체와 테이블의 매핑이 내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객체와 테이블간의 매핑을 구체적으로 둘로 나눌 수 있다.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일대일 매핑 : @Entity, @Column, @Id, @GenertatedValue ... 등 테이블 사이의 연관관계 매핑 : @OneToMany, @Man..
@No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Student { @NotNull private Long student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설렘 프로젝트에 카카오 로그인 기능을 도입하며 Non-Blocking, Asyn 웹 서비스 프레임워크인 Spring WebFlux 의 공식문서를 공부하고 필요한 부분은 기록하려고 한다. 기존에 Spring 의 RestTemplate 을 사용해 Blocking 방식으로 외부 API 를 호출하는 기능을 구현했었는데, RestTemplate 이 maintenance mode 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많았다.(특히 Latency 문제) 그래서 Non-Blocking, Asyn 방식의 장점을 경험해보기 위해 Spring WebFlux 를 사용하기로 했다. 트래픽을 고려해서 성능적인 이점을 측정해보고 도입하라는 공식문서의 표현이 있었지만, 우리 서비스는 트래픽이 적어서 사실 큰 의미는 없을..
지난 포스팅 이후 일주일 정도는 이틀에 한번씩 운동을 했다. 다른 일정들이랑 겹치기도 했기 때문이다. 약간은 가벼운 목표로써 벌크업을 부담없이 꾸준히 하려고 했다. 충분하게 먹고, 유효한 운동량으로, 너무 욕심내지 않고 꾸준히, 약 한달 전까지는 어느정도 골격근량 증가가 이뤄졌지만 지금은 정체기인 것 같다. 다쳤던 무릎에 조금 부상이 온 이후부터이다. 하체 운동에 중량을 치면서 근신경계(?)에 자극이 주어지면서 전체적인 벌크업에 영향을 줬던 것 같은데...(추측이다.) 하체 운동을 하지 않게 되서 그런가 싶기도 하다. 그래서 정체기를 돌파하기 위해 다시 단백질 섭취량을 늘리고 운동량도 늘리기로 했다. 지금부터 다시 골격근량 성장 곡선을 그릴 것이다.! 어쨋든 운동은 참 좋은 것 같다ㅎㅎ 화이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701#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내 코드 (주석에 분석 포함)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elements) { /* 1. left , right 인덱스를 둔다. 2. left ~ right 까지 길이가 0부터 elements size -1 까지 증가하는 반복문을 연다. 2-1. left와 right가 1씩 증가하는데, left 가 right..